1. Worker Node - node1, node2, node3 복제 수행
- virtualBox UI 를 통해 Master 선택 > 마우스 우클릭 [복제] 버튼 클릭
- 이름: k8s-node1
- MAC 주소정책 : "모든 네트워크 어댑터의 새 MAC 주소 생성"
- 복제방식 : 완전한 복제
위와 같은 방식으로 master-node를 복제하여 node1, node2, node3을 생성한다.
2. 부팅 후 IP & hostname 변경
- Ethernet(enp0s8) connected > Wired Settings > IPv4 하위 내용 변경
- Manual
- Address : 192.168.56.101(k8s-node1)
192.168.56.102(k8s-node2)
192.168.56.103(k8s-node3)
$ sudo hostnamectl set-hostname k8s-node1
$ sudo vi /etc/hosts
127.0.0.1 localhost
127.0.1.1 k8s-node1
192.168.56.100 k8s-master
192.168.56.101 k8s-node1
192.168.56.102 k8s-node2
192.168.56.103 k8s-node3
$ sudo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
# 만약 systemd-networkd를 사용중이라면 아래 명령어로 대체
$ sudo systemctl restart systemd-networkd
$ hostnamectl
$ sudo ifconfig # 지정 IP로 수동 변경하기
$ sudo ping 192.186.56.1
$ sudo ping 8.8.8.8
$ sudo reboot
# cluster의 모든 Node 간의 ssh 통신 확인
[master]
$ date
$ ssh student@k8s-node1
$ ssh student@k8s-node2
$ cat .ssh/known_hosts
[node1]
$ date
$ ssh student@k8s-node2
$ ssh student@k8s-master
$ cat .ssh/known_hosts
[node2]
$ date
$ ssh student@k8s-node1
$ ssh student@k8s-mster
$ cat .ssh/known_hosts
# ssh key 저장됨을 확인
# 간혹, ssh timeout 문제가 생기면 위와 같이 사전 연결 설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.
'Kubernet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kubernetes] 2-5. 노드 확장하기 (0) | 2025.03.18 |
---|---|
[kubernetes] 2-4. 3-node cluster를 위한 Kubernetes 초기화 (0) | 2025.03.18 |
[kubernetes] 2-2. kubernetes cluster 구축 - VM 환경구성 (0) | 2025.03.17 |
[kubernetes] kubeconfig ? (0) | 2025.02.24 |
[kubernetes] icmp destination unreachable (0) | 2025.02.23 |